반응형

슬슬 마지막을 향해 달려가는 더 글로리(파트 1, 2 / 총 16화) 더 글로리 11화에서는 드디어 6화에서의 손명오(배우 김건우 님)의 실종과 복선이 회수됩니다.

 

스토리 전개의 복선

지난 더 글로리 6화에서 박연진(배우 임지연 님)의 발의 상처와 자세하게 표현되지는 않았지만 손명오의 죽음이 연관되어 있다는 화면이 등장했습니다.

더 글로리 11화에서는 구체적으로 손명오가 박연진에게 어떻게 죽게 되는지 그 사후처리는 어떻게 했는지에 대한 내용이 자세하게 등장합니다. 그리고 지난 6화에서 나왔던 발의 상처가 손명오를 죽이는 과정에서 생기게 되었다는 사실 또한 보여주고 있습니다.

자신의 피묻은 원피스는 태워서 증거를 없앴다고 생각하지만

정작 자신의 구두에 묻은 피는 미처 생각하지 못합니다.

그리고 전재준(배우 박성훈 님)과 박연진의 사생아 하예솔(배우 오지율 님)의 적록색강이상은 그간 직접적으로 묘사되진 않았지만 더 글로리 11화에서는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묘사해주고 있습니다.

드디어 박연진이 숨기고 싶어했던 사건들이 하나씩 드러나고 있는 것입니다.

뿐만아니라 다른 복선도 계속해서 등장합니다. 주여정의 냉장고에 보관된 의문의 상자입니다. 이처럼 하나의 의문이 해소되면 다른 의문을 계속해서 제공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더 글로리는 모든 사람들이 계속해서 긴장하면서 끝까지 보게 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사진을 찍는 추정호(배우 허동원 님). 그간 학교에서 문동은을 괴롭히는 빌런으로 등장했다. 하지만 추정호는 사진으로 인해서 망하게 된다.

 

긴박감을 더해주는 카메라 무빙

영화/ 드라마에서 상황을 묘사하기 위해서 핸드헬드 기법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카메라를 삼각대에 올려서 안정적인 3인칭 관찰자의 시점으로 촬영하는 것이 아니라 흔들리는 카메라의 앵글을 통해서 캐릭터의 흔들리는 심리상태, 불안정한 상황을 간접적으로 묘사하는 것입니다. 극중 손명오의 죽음은 그 만큼 박연진의 견고한 그룹(?)에 균열이 생길만한 중대한 사건이고 이 사건의 중심에 박연진이 존재한다. 그리고 이 사실을 숨겨야한다라는 긴박한 상황을 핸드핼드 기법으로 표현해주고 있습니다. 특히 손명오의 피로 얼룩진 원피스를 갈아입는 장면에서는 누군가 훔쳐보는 듯한 앵글로 촬영을 했고 이는 이후에 누군가의 목격자가 존재함을 암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핸드핼드 촬영은 이후에도 등장하는데 전재준과 박연진의 내연의 관계를 하도영(배우 정성일 님)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듣는 장면에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캐릭터 내면의 표현

그리고 핸드헬드 앵글에 더해서 거울에 비친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박연진 내면의 상태의 불안감을 직접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참고로 거울에 비친 모습이나 어떤 특정 공간에 있는 캐릭터는 자신의 내면을 형상화하는 경우가 많은데 미스터 션샤인에서도 이러한 기법은 많이 등장했습니다. 미스터 션샤인 12화에서도 쿠도히나(배우 김민정 님)가 자신의 아버지를 만나는 장면에서도 자신의 내면을 이야기를 하는 모습에서 사용되었습니다.

박연진의 차안도 박연진의 마음을 표현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주여정의 병원에서 마취로 진행된 필러시술에서 손명오의 죽음과 관련된 이야기를 했을까봐 노심초사하는 보슴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자동차안에서의 룸미러를 통해서 불안한 마음을 가지고 있음을 다시한번 보여주고 있습니다.

박연진의 차안에서의 공간이 박연진의 마음을 표현하는 화면이라면 문동은은 교실입니다. 해외로 유학을 떠나기전 마지막으로 문동은을 찾아온 이선아(배우 최수인 님)에게 문동은은 자신의 마음의 이야기를 합니다.

 

마음의 묘사_캐릭터간의 균열 / 연합

흔히 다른 마음을 품는 것을 화면에 묘사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마음은 눈에 보이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마음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인서트는 어떻게 보면 마음을 화면으로 표현해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더 글로리 11화에서는 신영준(배우 이해영 님)이 그간 박연진의 뒷처리를 감당하다가 다른 생각을 품게 됩니다.

원래는 손명오의 시체를 화장해서 증거를 없애려고 하다가 이것으로 도리어 박연진을 위협할 수 있는 증거로 남겨두기로 결심합니다. 이런 신영준의 다른 마음을 그간 멈춰있던 계량기의 숫자가 움직이는 것으로 표현해주고 있습니다.

이런 마음의 변화는 미스터 션샤인 1화에서는 잔을 뒤집는 화면을 통해서 마음이 바뀌는 것을 묘사해주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캐릭터간의 균열을 설명한 화면이라면 캐릭터간의 연합을 표현한 화면도 등장합니다. 박연진의 뒷조사로 어려움을 겪게된 강현남(배우 염혜란 님)은 문동은으로부터 빨간 립스틱을 선물받게 된다.

빨간 립스틱은 문동은과의 대화에서 첩보원처럼 빨간 립스틱을 바르고 다니겠다는 농담을 기억하여 선물한 것이다. 이후 딸인 이선아가 미국에 도착하고 남편 이석재를 죽이기위한 계획 시작하게 된다.

 

감정의 표현

이전 포스팅에도 등장했던 분노의 표현중 하나입니다. 문동은(배우 송혜교 님)의 화상의 상처를 치료해주고자 하는 성형외과 의사 주여정(배우 이도현 님)의 제안을 거절합니다. 이후 주여정의 마음을 끓는 냄비의 뚜껑으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분노의 표현이라기 보다는 화남의 표현이 더 적절할 듯 합니다.

 

스토리 전개를 위한 복선 2

손명오의 죽음이 박연진과의 관계가 있다는 사실은 박연진의 연합(전재준, 이사라, 최혜정)의 균열을 가져올 만한 큰 이벤트입니다. 더 글로리 11화에서는 손명오의 죽음과 박연진의 관계를 증명하는 증거를 전재준과 최혜정이 찾게 됩니다.

최혜정은 손명오의 마지막 녹음파일을

전재준은 마지막 CCTV화면을 찾게 됩니다.

박연진의 모친에게 협박문자를 보내고 미행을 하면서 뭔가 큰 횡재를 한 것처럼 일을 진행합니다. 하지만 이것은 문동은의 덫입니다.

그것은 주여정과 바둑을 두는 장면에서 간접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후 스토리는 박연진의 기상예보의 너울처럼 바다에서 가장 매서운 물결이처럼 진행될 것임을 암시해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문동은의 나레이션으로 이를 보강하고 있습니다.

너울이 무서운 이유는 정확한 예보법이 개발되지 않아 예측이 어렵고 잔물결도 없이 잠잠하다가 일순간에 모든 것을 삼켜버리기 때문이라고... 이후 스토리는 너울처럼 예측하지 못한 방향으로 일순간에 모든 것이 사라지는 방향으로 전개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J-Virtue Media 상구입니다. 오늘은 더 글로리 6화의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중반을 지나고 있는 더 글로리 6화에서는 문동은의 복수가 서서히 시작됩니다. 이른바 끝판왕인 박연진을 향해 장애물을 하나씩 넘어가는 모습입니다.

스토리전개의 복선

드디어 견고해보이기만 하던 박연진의 성에 조금씩 균열이 가기 시작합니다. 박연진의 구두 그리고 상처난 발.

이를 통해 박연진에게 어떤 문제가 발생함을 암시하고 있습니다. 이는 손명오의 죽음까지 연결됩니다.

 

그리고 손명오를 찾는 하도영, 전재준을 만나러와서 뜻밖의 장면을 보게 됩니다. 바로 전재준의 담배입니다.

이후 하도영은 바로 아내인 박연진의 흡연장면을 떠올립니다. 확실하진 않지만 전재준과 박연진이 어떤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눈치챕니다.

 

그리고 하예솔의 칫솔과 적록 색각 이상을 보완하는 콘텍트 렌즈

그리고 유전자 검사표

이 모든 인서트로 앞으로 어떤 내용이 펼쳐지게 될지 암시해주고 있습니다.

 

캐릭터만의 공간이 표현하는 것

'더 글로리'뿐 아니라 다른 많은 드라마에서도 공간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주인공의 방이라하면 주인공만의 이야기나 내면을 엿볼 수 있는 장소로 표현되고 어느 장소에 함께 있다는 것은 그 캐릭터와 내면을 공유한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강현남의 차안에서 문동은은 자신의 복수와 관련된 이야기를 듣고 싶지만 강현남은 복수와 더불어 문동은에게 조금 더 다가가고자 합니다.

하지만 문동은 거절합니다. 그리고는 자신의 차로 가버립니다. 즉, 강현남의 마음을 받아주지 않습니다.

하지만 강현남은 여기에 안주하지 않고 김치를 문동은에게 선물합니다. 마음을 조금 더 열어서 문동은에게 다가간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트라우마의 표현

문동은은 학교폭력의 트라우마가 있는 캐릭터입니다. 트라우마는 성인이 되어서도 쉽게 사라지지 않습니다. 지난 더 글로리 5화에서는 트라우마가 있는 과거를 표현하기 위해 사진기의 플래시를 활용했다면 6화에서는 삼겹살을 굽는 장면을 통해서 과거의 학교폭력을 당했던 트라우마를 표현합니다.

촬영기법으로 화면을 어지럽게 만드는 슬로우 셔터나 고스트 효과, 핸드헬드 등을 활용하면 트라우마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더 글로리에서 문동은은 학폭 때문에 복수를 하지만 내면의 트라우마는 극복하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주여정의 역할은 매우 중요합니다. 직접적인 문동은의 화상을 치료할 수 있는 성형외과 의사로 나오기 때문입니다. 이는 의미적으로도 문동은의 상처와 아픔을 치료할 수 있는 캐릭터이기 때문입니다.

특히 새롭게 둥지를 튼 주여정의 집에서 자신의 온 몸에 있는 화상의 흔적을 보여주게 됩니다. 이를 통해 주여정과 문동은은 조금 더 가까워지게 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