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J-Virtue Media 상구입니다. 더 글로리 인서트를 마무리 글을 올리는데 거의 6개월이라는 시간이 흘러버렸네요. 그래도 마무리는 어떻게든 하는 것이 저에게 필요한 듯 합니다. 아래의 포스팅에는 '더 글로리' 16화에대한 스토리와 관련된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으니 참고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캐릭터 심리의 반전과 전환 그리고 강조

더 글로리 15화의 마지막 부분에서 연결된 더 글로리 16화는 문동은(배우 송혜교 님)의 반전 이야기로 시작됩니다. 그간 주여정에게 일부러 접근했던 사실과 윤소이와의 관계 등을 모두 주여정에게 들키고 맙니다. 그러한 태도의 반전으로 이미지라인을 넘어가는 카메라 워킹으로 표현해 주고을 있습니다.

촬영에서 이미지라인은 불문률입니다. 하지만 최근의 드라마를 보면 이미지라인이 무시되는 경우가 꽤 많습니다. 더 글로리에서 이미지라인이 넘어가는 화면을 꼽은 이유는 스토리 전개의 의도를 반영하기위한 카메라 워킹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입니다. 죽은 윤소이의 보호자를 자청한 주여정의 반전과 문동은의 내면을 드러내는 멋진 장면이라고 생각됩니다.

이후 타이틀이 나오면서는 주여정의 얼굴을 향해 달리인의 카메라 워킹을 보여줍니다.

달리인을 사용하는 경우는 줌인과는 약간 다른 느낌이긴 하지만 뭔가 자세히 더 들여다보는 느낌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더 글로리 16화에서 펼쳐지는 주여정의 복수를 자세히 살펴보는 암시하는 장면으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흔들리는 화면 흔들리는 캐릭터의 심리

종종 영화나 드라마에서 흔들리는 카메라 앵글을 볼 수 있습니다. 화면이 흔들리거나 떨린다면 보는 사람도 화면에서 불안함을 느끼게 되고 그것을 통해 캐릭터의 심리 혹은 내면의 요동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더 글로리 16화에서도 그런 장면들이 자주 등장하는데 목소리를 잃은 최혜정(배우 차주영 님)의 병실에서 찾아온 문동은을 보고 반응하는 최혜정의 화면이 흔들리는 화면으로 표현됩니다.

이외에도 수감되어있는 박연진(배우 임지연 님)을 만나는 화면에서도 박연진의 화면만 흔들리는 화면으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미루어 짐작하건데 평온한 문동은과 대비되어 흔들리고 있는 박연진의 모습을 화면으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캐릭터 내면의 모습을 묘사한다

배우의 캐릭터 내면묘사는 폭발하거나 절제거나하는 여러 감정, 그리고 대사나 행동으로 묘사되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화면만으로 묘사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런 경우에 거울이나 유리와 같이 반사되는 물건을 통해 캐릭터의 내면을 묘사하는데 가장 손쉬운 것이 거울입니다. 전재준에 대한 복수를 실행하기 위해 전재준의 집을 찾은 최혜정. 거울에 비친 그녀의 모습을 통해 복수를 해야겠다는 다짐의 모습을 엿볼 수 있습니다.

특히 적목색약을 위한 콘텍트렌즈과 안압을 낮추기 위한 안약을 자세하게 보여줌으로써 문동은이 제안한 방법으로 전재준에 대한 복수를 실행합니다.

거울에 비친 최혜정의 모습으로 포커스 이동을 함으로써 전재준에대한 최혜정의 복수의 마음을 다시한번 강조해서 보여줍니다.

이외에도 거울을 통한 내면의 묘사는 강현남(배우 염혜란 님)이 가게 출입문 유리을 바라보면서 립스틱을 새로 바르는 장면에서도 등장합니다. 무료한 일상을 살아가고 있는 강현남에게 다시한번 문동은의 연락이 오게 됩니다.

가게문을 닫고 가면서 자신의 내면을 모습을 다시한번 바라보게 됩니다.

특별히 문동은으로부터 선물 받은 빨간 립스틱을 다시 입술에 바르면서 문동은의 새로운 복수에 함께 합니다.

클로즈업을 통해 내면의 광기를 묘사하는 장면도 있습니다. 교통사고에 범인으로 몰린 홍영애. 그녀는 교통사고에 대한 합의를 통해서 위기를 벗어나고자 하지만 생각대로 되지 않자 자신의 성질대로 거칠게 문을 두드리는 장면에서 배우의 표정을 통해서 내면의 상황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클로즈업을 통한 캐릭터의 광기(?)에 대한 표현은 넷플릭스 드라마 '지옥'에서도 등장합니다. 극중 화살촉의 인터넷 생중계화면에서 그 광기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앞으로 달리는 캐릭터에 클로즈업이라는 화면을 더해 인물의 심리(광기)를 극단적으로 표현한 화면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더 글로리' 16화에 걸친 문동은의 복수가 마무리되고 문동은의 마음에서 복수심이 사라지는 내면의 모습을 꺼져가는 불로 표현해 주고 있습니다.

이후 주여정의 어머니 박상임(배우 김정영 님)의 간곡한 부탁으로 동은은 자살이라는 불행한 마감대신 주여정의 복수를 돕기로 결정합니다.

처음 문동은의 복수를 바둑에 비유한 것처럼 주여정의 복수도 주여정의 판에 새로운 돌이 놓이는 장면으로 복수가 시작됨을 암시해주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전재준의 죽음과 직접적 연관은 하도영임을 알려주는 넥타이.

이를통해 전재준은 하도영에게 죽게되고 시체도 찾을 수 없는 공사현장의 콘트리트에 생매장되게 됩니다.

이렇게 '더 글로리'의 마지막 16회까지의 인서트를 살펴보고 캐릭터 내면의 효과적인 표현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 다른 작품에서도 인물, 캐릭터의 심리묘사와 신의 구성에 대한 것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J-Virtue Media 상구입니다. 오늘은 더 글로리 5화 입니다. 5화 정도가 진행되었으면 스토리의 구성상(발단-전개-절정-위기-결말)에서 전개에 위치하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문동은의 복수의 전개가 이루어지는 부분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지금까지 복수를 차근차근 진행해왔던 캐릭터처럼 바로 본진으로 쳐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약한 부분부터 서서히 접근하고 조금씩 허물어 가고 있습니다. 더 글로리 2화에서 바둑을 이야기한 주여정의 대사처럼 말입니다. “끝에서부터 가운데로 자기 집을 잘 지으면서 남의 집을 하나씩 부수면서 서서히 조여 들어와야해요. 침묵속에서 맹렬하게…”

5화에서는 문동은은 박연진의 남편인 하도영에게 접근합니다. 기원에서 문동은을 처음 본 하도영은 문동은에 호감을 느낍니다. 5화의 시작에서 그 마음에 드러나게 됩니다.

 

마음을 들여다 보다

마음을 들여다 보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마음이 향하는 방향으로 스토리가 전개되기 때문입니다.

퇴근길에 우연히(문동은의 입장에서는 계획적이었겠지만) 하도영은 편의점에서 삼각김밥을 먹고있는 문동은을 발견하고 바로 편의점으로 들어갑니다. 그리고 중간에 유리에 비친 상대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하도영(배우 정성일 님)의 마음에 문동은이 들어간 것입니다. 이후 둘은 바둑을 매개로 만남을 이어가게 됩니다.

또한 강현남(배우 염혜란 님)의 마음을 엿볼 수 있는 장면도 있습니다. 문동은의 복수를 돕고 있는 강현남은 문동은과의 비밀스럽게 접선(?)을 하는데 메시지를 포스트잇으로 하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썼다 지운 메시지를 통해서 문동은을 만나고 싶어하는 강현남의 마음을 엿볼 수 있습니다.

마음을 알았는지 문동은은 강현남과 만나기위한 메시지를 남깁니다.

 

기억의 표현

소위 기억은 어느 순간 다시 떠오릅니다. 이를 화면으로 표현할 때 주로 섬광을 이용하기도 하는데 자주 사용되는 소재가 바로 플래시 입니다. 더 글로리에서도 문동은의 과거의 아픈 기억(트라우마)을 플래시를 통해서 표현하고 과거의 이야기를 이어갑니다.

이외에도 기억을 표현하는 요소로 충격/충돌과 같은 것이 있을 수 있습니다. 대개의 부정적인 기억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하지만 긍정적인 기억으로는 주로 사진, 비디오와 편지와 같은 소재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극중에서 강현남은 문동은과의 만남을 긍정적인 기억으로 저장하고자 카메라를 활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캐릭터의 특징을 보여주는 다양한 접근

 

더 글로리에서는 색을 사용한 캐릭터의 표현이 종종 나오는데… 그중에 하나가 바로 빨강입니다. 적목색약을 가지고 있는 전재준(배우 박성훈 님)의 약점이자 전재준만의 특징입니다. 그런 전재준의 사생아인 하예솔의 적목색약은 박연진이 버리고 싶은 것일 것입니다. 그래서 하도영의 어머니(박연진의 시어머니)에게 받은 명품 배넷저고리를 쓰레기통에 버립니다.

이후에도 빨강이라는 색, 적목색약이라는 소재를 통해서 결국 하도영도 하예솔이 전재준의 사생아임을 알게 됩니다.

손명오(배우 김건우 님)라는 캐릭터를 표현하기위해 더 글로리에서는 ‘memento mori’라는 문신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메멘토모리라는 글의 뜻은 ’너의 죽음을 기억하라‘라는 라틴어였으나, 문동은이 기억하는 손명오의 문신은 Memento mori의 일부가 가려진 memori. memori의 스페인어 뜻는 ‘나는 죽었다’ 입니다.

이는 손명오의 죽음을 암시하고 있고 이후 그 뜻처럼 손명오는 죽게 됩니다.

문동은의 접근에 당황하기 시작하는 박연진과 친구들의 모습을 표현하기 위해 삼자구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삼자구도는 대개 균등한 집단에서 서로 비슷한 영향력을 가진 캐릭터가 서로 대립을 시작할 때 사용합니다. 대립구도와는 다르게 삼각구도는 다른 첨예한 이권과 상황에 대한 다툼이 생길 수 있음을 암시합니다.

삼각구도는 미스터 션샤인에서도 등장합니다. 유진초이와 구동매의 대립구도에 새롭게 등장하는 김희성함께 만나는 장면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https://m.blog.naver.com/limsk98/222676424268

 

스토리 전개를 위해 등장하는 다양한 소품

더 글로리에서는 스토리 전개를 위한 다양한 소품이 등장하는데 하예솔의 유전자 검사를 위해 등장하는 칫솔

문동은의 마음의 상태를 표현하는 주전자

주여정(배우 이도현 님)의 아픈 기억속에 등장하는 새로운 캐릭터의 등장을 암시하는 교도소에서 온 편지

반응형

+ Recent posts